"후평1동 주민 93% 못 들어간다"⋯대피소 수용인원 따져보니
  • 스크롤 이동 상태바

    "후평1동 주민 93% 못 들어간다"⋯대피소 수용인원 따져보니

    • 입력 2023.06.08 00:01
    • 수정 2023.06.09 07:52
    • 기자명 오현경 기자·한재영 국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31일 서울시에서 ‘경계경보’ 위급 재난 문자를 잘못 발송해 많은 시민들이 이른 아침부터 혼란을 겪었습니다. 문자가 발송되고 약 10분 뒤 오발령이라는 안내가 이어지면서 상황은 종료됐지만, 위급상황 발생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대처 방법과 지역 대피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대피소 현황과 관리 실태 등이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나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춘천시의 경우도 읍면동로 대피소 현황이 천차만별이고, 일부 마을은 아예 없거나 주민의 10%도 수용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오현경 기자 hk@mstoday.co.kr]
    [확인=한재영 데스크]

     

    지난 5월 31일 서울 전역에 내려졌던 경계경보.
    오전 6시 40분쯤 실제 상황을 강조하는 안내방송과 ‘대피 준비를 하라’는 문자가 날아들면서 시민들은 걱정과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다행히 북한 우주발사체와 관련한 오발령으로 알려지면서 일단락됐지만, 분단국가에 대한 불안감은 떨칠 수 없습니다.

    대피 상황이 발생하면 문제는 더욱 커집니다.
    올 2월 기준 춘천에 지정된 대피 시설은 95개소, 면적은 66만 7천여㎡입니다.
    공공용 대피시설 수용 인원 1명당 0.825㎡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규정상, 춘천시 인구 29만 명을 수용하기에 충분합니다.

    하지만 읍면동별로 살펴보면 상황은 바뀝니다.
    1만1천여명이 거주하는 후평1동 대피시설은 1곳인데, 수용 가능 인원은 약 7%인 1천600여명에 불과합니다.
    3천600여 명이 거주하는 교동은 지정 대피소가 아예 없습니다.
    후평1동 대피소나 강원도, 춘천시 등 인근 대피소로 가야 하는데 빠른 걸음으로 걸어도 10분 이상이 소요돼 5분 거리라는 대피소 기준에 맞지 않습니다.

    [인터뷰- 행정안전부 위기관리지원 담당]
    “민방위 대피시설은 빠른 걸음으로 5분 이내에 대피할 수 있도록 667m 정도로 연구가 돼 있고요. 도심지에는 지하 건물이나 시설들이 많이 있는데 외곽이나 농촌은 거의 없잖아요. 그런 실정이죠.”

    대피소 내에서도 안전을 담보하기는 어렵습니다.
    가부좌를 틀고 앉아 있을 좁은 공간만 할당되거나, 밀폐된 공간에 적정인원 기준을 초과하면 유사시 장기간 머물 수 없고 또 다른 문제가 초래될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인터뷰-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식수도 부족할 것이고 비상 식량도 아마 부족하리라고 생각이 돼요.
    또 한가지는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숨 쉬기가 어렵지 않을까⋯. 장기간 있기에는 좀 더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겠죠.”

    생존권의 문제인 민방위 대피소, 형식적 지정이 아닌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확보와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MS투데이 한재영(촬영‧편집 오현경 기자)입니다.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