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찾아 삼만리⋯차별받는 강원 산모들
상태바
산후조리원 찾아 삼만리⋯차별받는 강원 산모들
  • 서충식 기자
  • 댓글 10
  • 승인 2023.03.14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10개 지역 산후조리원 없는 상황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 이용해
공공산후조리원 의무 설치 법안 발의 등 정치권도 관심
도내 지자체들 예산 조성해 공공산후조리원 조성 이어져
도내 시군별로 임신·출산 인프라 격차가 심해 산모들이 불편은 겪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도내 시군별로 임신·출산 인프라 격차가 심해 산모들이 불편은 겪고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매년 심각해지는 가운데 거주 지역에 산후조리원이 없어 원정출산을 하는 강원 산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임신·출산 인프라 격차로 인해 젊은 부부의 유입이 줄어 인구 고령화 및 지역 소멸 우려도 제기된다.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에는 17곳(민간14·지자체3)의 산후조리원이 운영되고 있다. 이마저도 춘천 3곳을 비롯해 원주 5곳, 강릉 3곳, 동해 2곳, 삼척·철원·화천·양구 각 1곳이어서 나머지 10개 시·군은 산후조리원이 전무하다. ‘2021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81.2%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에는 산후조리원이 78.1%로 가장 높았다.

3년 전 둘째를 출산한 홍천군민 김혜영(32)씨는 “홍천은 산부인과가 없어 두 아이 모두 춘천에서 출산했다”며 “첫째를 낳고서 친정엄마와 함께 집에서 산후조리 했던 것이 힘들어 둘째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했는데, 내가 사는 지역이 아니다 보니 여러모로 불편함이 컸다”고 했다.

이같이 지역 간 임신‧출산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은 출산을 앞뒀거나 출산 계획을 세운 젊은 부부의 유입을 이끌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인구 30만명 미만 지자체에 공공산후조리원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도내 지자체에서도 산후돌봄 사각지대 해소와 인구유출 방지를 위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사업을 잇달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지자체가 운영하는 도내 산후조리원 총 4곳이다. 2016년 2월 삼척을 시작으로 2020년 2월 철원, 같은 해 7월 양구, 지난해 2월 화천에 문을 열었다. 이외에도 태백이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2024년 문을 여는 것으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 나섰고, 홍천, 속초, 영월도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의무화 법안을 대표발의한 최혜영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인프라가 좋은 대도시보다 인구 규모가 작은 지자체에 값싸고 질 좋은 공공산후조리원을 확대해 출산에 대한 공적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충식 기자 seo90@mstoday.co.kr]

[확인=한상혁 데스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장*윤 2023-03-14 20:19:41
이런 문졔들을 조속히 해결 해야 저출산 문제도 해결됩니다

이*희 2023-03-14 20:16:21
13년전이나 지금이나 조리원 구하는게 힘든건
똑같네

서*수 2023-03-14 17:58:53
애 낳은 후 조리가 중요합니다

홍*하 2023-03-14 10:59:49
몸조리가 중요한데

이*진 2023-03-14 09:39:18
아이 낳고 살기 좋은 나라는 언제올까요

하단영역

매체정보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춘천순환로 600
  • 대표전화 : 033-256-3300
  • 법인명 : 주식회사 엠에스투데이
  • 제호 : MS투데이
  • 등록번호 : 강원 아00262
  • 등록일 : 2019-11-12
  • 발행일 : 2019-10-17
  • 발행인 : 이원복
  • 편집인 : 조한종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용
  • Copyright © 2023 MS투데이 .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준용 033-256-3300·mstoday10@naver.com
  •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