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귀농·귀촌 가구 10년째 제자리
  • 스크롤 이동 상태바

    춘천 귀농·귀촌 가구 10년째 제자리

    10년째 2000명대에서 안 늘어
    1~6개월짜리 귀농·귀촌 체험 위주 단기 프로그램 운영
    장기 정착 지원, 교육 부족
    “소규모 농업인 위한 정책 적어 아쉽다”

    • 입력 2024.03.04 00:07
    • 기자명 박준용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래픽=박지영 기자)
    (그래픽=박지영 기자)

     

    춘천으로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 이사비 지원이나 저금리 대출, 교육 등 각종 지원책을 펼치고 있지만, 정착보다는 경험이나 체험 위주의 단편적인 정책에만 치우쳐 실제 귀농·귀촌까지 이어지지는 않는 실정이다.

    통계청의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2017~2022년까지 춘천 귀농·귀촌 가구는 2605→2758→2435→2604→2567→2395가구다. 통계를 처음 시작한 2013년 2460가구에서 소폭 늘거나 줄거나 하는 수준이다.

    이처럼 춘천으로 귀농·귀촌하는 인구가 늘지 않는 이유는 현실에 맞지 않는 농촌 정착 시스템이 꼽힌다. 실제 춘천시농업기술센터나 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지만, 대부분 단기 교육에 그치고 있다.

    현재 귀농귀촌지원센터는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 참여형으로 귀농·귀촌을 유도하고 있다. 귀농·귀촌형은 거주기간이 1~6개월, 프로젝트 참여형은 3~6개월로 길어야 반년을 경험하는 수준이다.

    춘천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안내하고 있는 체험 프로그램 관련 안내. 최소 1개월 거주부터 신청할 수 있다. (사진=춘천귀농귀촌지원센터 홈페이지 캡처)
    춘천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안내하고 있는 체험 프로그램. 최소 1개월 거주부터 신청할 수 있다. (사진=춘천귀농귀촌지원센터 홈페이지 캡처)

    귀농이나 귀촌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큰 결심 끝에 오게되지만, 실제 안정적인 정착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은 체계적으로 갖춰지지 않다는 것이다. 

    춘천 귀농 3년차인 최모(43)씨는 “귀농은 익숙했던 도시 생활을 접고 내려오는거라 나름대로 큰 결단이 필요하다. 귀농을 확정하지 않은 사람도 있는데 누가 한 달이나 시간을 내서 내려오겠나. 3개월이나 6개월 교육보다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해주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규모 농업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책적 지원도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에서 살다 춘천으로 귀촌을 준비 중인 류모(38)씨는 “귀농 가구 대부분은 소규모 인원인데 정책적 지원이나 교육은 대규모 농사를 짓는 농업인 대상 비중이 높아 아쉽다”고 토로했다.

    박준용 기자 jypark@mstoday.co.kr

    (확인=김성권 데스크)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29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