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도시’ 춘천인데⋯대학생 투표 못하니, 청년 정책도 부족
  • 스크롤 이동 상태바

    ‘교육도시’ 춘천인데⋯대학생 투표 못하니, 청년 정책도 부족

    대학 많지만 주소지는 다른 지역에
    춘천에 4~5년 살지만, 지역구에 투표 못해
    청년 투표율 저조, 청년 정책 부실로 이어져

    • 입력 2024.04.10 00:07
    • 수정 2024.04.16 00:04
    • 기자명 김성권 기자·박민경 인턴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둘째날인 6일 서울 중구 명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둘째날인 6일 서울 중구 명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용지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10 총선에서 여야 모두 2030 청년층의 투표를 독려하고 있지만, 정작 청년층을 위한 공약이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대학교가 많은 춘천은 지역 유권자가 아닌 거주만 하는 ‘생활인구’가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청년들을 위한 공약이 나오기 어렵다는 게 문제로 꼽힌다.

    통계청에 따르면 교육도시로 불리는 춘천시 청년인구(20대 이하, 18~29세)는 2023년 기준 3만6973명에 달한다. 이 중 타 지역에서 온 인구는 약 3400명 정도로 대부분 대학을 다니기 위해 4~5년 정도 춘천에 머무른다.

    하지만, 이들 중 투표권을 행사하는 인구는 1900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춘천에 거주하지만, 주소지는 다른 지역에 둔 ‘생활인구’로 분류된다.

    이런 사정은 청년층의 전체 투표율에도  영향을 미친다. 21대 총선 유권자 중 20대인 20~24세와 25~29세는 각각 8.1%, 7.4%에 그쳤다. 40~49세(16.9%), 50~59(18.6%)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투표율이다.

    강원대에 다니는 손민지(26)씨는 “졸업 후에 본가로 돌아가기 위해 주소지 이전을 안하는 경우가 많다. 4년에 한 번 있는 선거인데 투표에 참여하기 위해 주소지를 이전하기에는 장점이 없다”고 말했다.

    직장인 변용대(26)씨는 “대학생뿐 아니라, 워케이션 사업 등으로 춘천을 생활권으로 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총선에서 청년들을 위한 공약을 보기 어렵다. 투표는 하라면서 공약이 부족한 건 문제지만, 그만큼 청년들이 주소지를 이전할 동기가 없어서인게 근본적인 문제인 것 같다”고 꼬집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번 총선에서도 청년들을 위한 공약은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대부분 노인을 위한 ‘은퇴자 도시’,‘어르신들이 행복한 건강복지 도시’ 등이 연령대를 겨냥한 주요 공약이다. 청년 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정도는 기업유치, 일자리 창출에 불과하다.

    지역사회에서는 ‘교육도시 춘천’ 생활인구를 실제 청년인구로 흡수해 대학생들이 지역 내 정주하면서 투표할 수 있도록 주소지 이전 등 다양한 유인 정책을 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문상석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는 “20~30대 투표율이 올라간다면 지역 내 청년 정책들이 많아질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선 대학생들이 생활인구에서 주소지 거주 인구로 옮기도록 의료보험, 주민세, 청약 등 다양한 부분을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권 기자·박민경 인턴기자 ksk@mstoday.co.kr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0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