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없는 움직임 만들기] 하체운동의 중요성 : 런지(lunge)
  • 스크롤 이동 상태바

    [통증 없는 움직임 만들기] 하체운동의 중요성 : 런지(lunge)

    하체운동 '런지' 무릎 통증 예방 기능
    근력과 균형감 향상, 교정 운동 효과도
    장비와 장소 구애 없어 쉽게 접근 가능

    • 입력 2023.06.20 00:00
    • 수정 2023.06.20 09:19
    • 기자명 김정규 강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규 강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김정규 강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하체 근력 향상과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운동 형태가 스쿼트(squat)와 런지(lunge)다.

    스쿼트와 런지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한 것이 아니며, 아파트 거실, 사무실, 심지어 비행기에서도 할 수 있는 대중화된 운동 방법 중 하나다.
    런지와 스쿼트 두 가지 운동 방법에는 운동학적 기전과 움직임의 결과를 근거로 근골격계 부기능을 찾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움직임 교육과 기능 및 통증 회복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운동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런지 운동은 하체 근력과 균형감 향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천골과 골반이 연결된 천장관절의 가동성을 회복시키는 교정 운동 효과가 있다.
    천장관절의 부기능과 통증은 보행과 같은 일상생활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한 발을 앞으로 내딛고 유지하는 움직임을 통해 장골의 일측성 움직임이 발생하고 천골의 회전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유도됨으로써 천장관절의 가동성 회복이 가능하게 된다. 

     

    포워드 런지 기본 동작. 그림=남서영
    포워드 런지 기본 동작. 그림=남서영

    골반 넓이 정도 발을 벌리고 서 있는 동작에서 걷는 동작과 같이 한발을 앞으로 향하게 하고 아래 방향으로 앉는 형태의 포워드 런지(forward lunge)와 시작 자세는 동일하지만 한 발을 뒤로 걷는 형태로 움직이고 아래 방향으로 앉는 동작인 리버스 런지(reverse lunge) 동작에서 나타나는 무릎과 발의 움직임 변형과 부기능을 통해 회복 방법에 대한 모범 답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포워드 런지 운동시 무릎이 안쪽으로 들어오는 현상은 발목의 발등굽힘 제한과 골반 뒤틀림에 의한 보상작용이라고 볼 수 있고, 무릎이 딛고 있는 발등 앞으로 많이 나가는 동작이 나타나게 되면 엉덩관절의 굴곡 기능 제한에 의한 결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리버스 런지에서 앞꿈치를 밀고 시작 위치로 돌아오는 경우에는 하체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주로 작용하는 엉덩이 근육과 햄스트링 사용이 제한된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맨몸 운동들 중 하체에 가장 효과적인 포워드 런지에 도전해 보자. 

    의자를 이용한 포워드 런지. 그림=남서영
    의자를 이용한 포워드 런지. 그림=남서영

    ① 골반 넓이만큼 다리를 벌리고 무릎을 약간 구부린다. 머리, 어깨 모두 엉덩이와 일직선 위치(중립 위치)에 두고 턱을 살짝 당기고 가슴은 약간 위로 든다.
    ② 안정성을 위해 발을 바닥에 잘 고정하고 손은 양쪽 허리에, 코어를 사용할 수 있게 상체를 바로 세운다.
    ③ 척추는 중립 위치 유지, 발을 앞으로 디딜 때는 걷기와 같이 뒤꿈치부터 지면에 닿게 한다.

    운동강도 증가를 위한 실례. 그림=남서영
    운동강도 증가를 위한 실례. 그림=남서영

    ④ 안정된 발 자세 유지를 위해 무릎과 고관절은 굴곡하고 발목은 발등굽힘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쪽의 발은 중립 위치에 있어야 하며 발바닥 전체에 골고루 힘이 분포되어 있게 한다. 앞쪽 발 무릎은 1-2번째 발가락 위에 두고 뒤쪽 엉덩이는 뒤쪽 다리 무릎 선에 위치시킨다.
    ⑤ 무릎 90° 유지, 어깨는 엉덩이 위에 있도록 노력한다.
    ⑥ 골반은 골반에 물이 채워져 있고 채워진 물이 쏟아지지 않게 유지한다고 상상하면서 하향 자세에서 2~3초 유지한다.
    ⑦ 상향 자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가슴은 들고 엉덩이와 대퇴사두근을 이용하여 처음 자세로 돌아간다. 의자와 같은 보조물을 사용하거나 덤벨, 케틀벨을 이용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 김정규 필진 소개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대한선수트레이너(KATA) 협회 학술부 이사

    강원도 건강생활실천협의회 위원

    대한 스포츠의학회 스포츠 분과 이사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7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