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 맞은 서민···피해 구제 방안 주목
  • 스크롤 이동 상태바

    코로나 직격탄 맞은 서민···피해 구제 방안 주목

    코로나 이후 가구 재정 상황 악화
    강원 지역은 더 심각한 경제 지표 보이기도
    다양한 금융 구제 방안 눈길

    • 입력 2021.07.01 00:01
    • 수정 2021.07.02 06:51
    • 기자명 정원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담하려면 기약 없이 기다려야 합니다.”

    29일 오전 10시, 업무를 시작한 지 1시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춘천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내에 있는 신용회복위원회 창구는 빌 틈이 없었다. 창구에서는 채무를 정상적으로 상환하기 어려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이 계속 이어졌다. 안재현 춘천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장은 “코로나 이후 소득이 줄고 부채가 늘면서 신용회복위원회를 방문하는 시민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춘천시 요선동에 위치한 춘천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사진=정원일 기자)
    춘천시 요선동에 위치한 춘천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사진=정원일 기자)

    코로나19 상황이 1년 넘게 지속되면서 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S투데이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가구부채(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부채의 평균액)는 8256만원으로 전년 대비 4.3% 상승했다.

    강원지역의 경우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해 강원지역의 가구부채는 5619만원으로 전년 대비 14.1% 상승했다. 전국 평균 부채 상승률의 3배가 넘는다. 가구 부채가 가중되는 현상은 현재 진행형이다. 한국은행 강원본부에 따르면 지난 1~4월 동안 강원지역 가계대출은 1810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한 수치다.

    소득과 자산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된다. 지난해 강원지역 가구의 경상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 정기적이고 예측 가능한 소득)은 4924만원으로 전년 대비 3.4% 감소했다. 자산은 지난해 기준 평균 3억 4307만원으로 전년 대비 1.6% 줄었다. 전국 가구의 경상소득과 자산이 전년 대비 각각 1.6%(5924만원), 3.1%(4억 4543만원) 증가한 것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강원 경제의 미래를 나타내는 지표인 청년일자리 문제에도 먹구름이 꼈다. 지난해 전국 청년실업률은 9.0%로 전년(8.9%) 대비 0.1%p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강원지역 청년실업률은 전년(7.8%) 대비 1.2%p 오른 8.7%를 기록했다. 실업급여 수급자도 급증했다. 한국고용정보원 EIS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3월 강원지역에서 실업급여를 수급한 청년(20세~39세)은 모두 5749명으로 전년 동월(4606명) 대비 27.5% 증가했다.

    춘천고용복지센터 실업급여팀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실업급여 수급자가 많아진 것은 확실하다”며 “청년 계층도 실업 위기 상황에서 예외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각종 금융 복지제도 사회안전망 역할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쌓이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 경제적 위기에 몰리게 된 사람들도 생기고 있다. 안재현 센터장은 “소득 저하로 카드 돌려막기나 현금서비스 등을 이용하다 상황이 악화돼 방문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경제적으로 막다른 길에 빠졌을 경우 구제방안은 없을까. 신용회복위원회는 ‘채무조정제도’를 운영한다. 채무조정제도는 소득대비 과다한 채무로 연체 중이거나 연체 위기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체이자 감면과 상환 기간 연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조건에 따라 일부 원금의 감면까지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거나 없어 금융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청년들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도 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진행하는 ‘햇살론 유스(Youth)’는 무직자에게도 최대 1200만원까지 빌려준다. 연 3.5%의 고정금리로 상환 기간은 최장 15년이다.

    안재현 센터장은 “코로나로 아르바이트 자리가 줄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년들이 많은 가운데 햇살론 유스(Youth)에 대한 청년들의 반응이 뜨겁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금융제도들이 영리 목적이 아닌 복지 차원으로 사회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원일 기자 one1@mstoday.co.kr]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