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아파트 주민들이 모은 폐식용유, ‘바이오 디젤’로 재탄생
상태바
춘천 아파트 주민들이 모은 폐식용유, ‘바이오 디젤’로 재탄생
  • 권소담 기자
  • 댓글 6
  • 승인 2022.08.07 00: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춘천 아파트 20여 곳에 폐식용유 수거함 설치
하수구에 버려졌을 식용유 모아 바이오 연료로
수질 오염 방지하고 대기 오염 물질 배출 적어

“가정용 튀김기를 쓰고 난 후 폐식용유를 처리하기가 곤란했는데 깔끔한 수거통이 생겨 좋아요.”

춘천 퇴계주공6단지 아파트(838세대)에는 올해 5월 폐식용유 수거통 6개가 들어섰다. 서울에 위치한 폐식용유 전문 수거업체 미래엔동명물류가 춘천지역 각 아파트 관리사무소와의 협력해 설치한 25ℓ 용량의 수거통이다. 각 가정에서 하수구로 버렸다면 수질 오염과 배관 문제를 일으켰을 폐식용유를 모아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활용한다. 

오경아 퇴계주공6단지 관리소장은 “튀김 요리할 때 생기는 폐식용유의 양이 상당한테 처치 곤란이라 고민이라는 주민분들이 많았다”며 “수거통을 깨끗하게 유지하면 주민들의 활용도도 높아질 것이고, 폐식용유로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말에 적극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춘천지역 아파트 단지 20여 곳에 폐식용유를 수거하는 노란색 통 215개가 들어섰다. 자원순환에 관심이 많은 춘천지역 주택관리사들이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도입이 빨라졌다.

 

춘천 퇴계동의 한 아파트 단지 내 분리수거장에 폐식용유 수거통이 설치돼있다. (사진=박지영 기자)
춘천 퇴계동의 한 아파트 단지 내 분리수거장에 폐식용유 수거통이 설치돼있다. (사진=박지영 기자)

‘바이오 디젤’은 동물성인 소‧돼지기름과 식물성 폐식용유 등을 메탄올과 반응시켜 생산한 친환경 연료다. 가정에서 배출된 폐식용유를 대량으로 수거해 정제한 뒤 화학 처리 과정을 거치면 차량용 경유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연료가 된다. 기존 경유 차량 엔진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석연료와 비교해 수질 및 대기 오염물질 배출이 적다.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에 따르면 2019년 17만7000t의 폐식용유와 동물성 기름이 재활용돼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사용됐다. 각 가정에서 하수구에 버리던 폐식용유가 모여 차량의 연료로 다시 태어난다. 신재생 연료 의무혼합제도(RFS)에 근거해 정유사들은 국내 주유소에 바이오 디젤 3.5%가 섞인 경유를 공급한다. 오는 2030년에는 바이오 디젤의 혼합 비율을 5.0%까지 늘린다.

국내 바이오 디젤 시장은 원료의 절반 이상을 수입산 팜유에 의존하고 있다. 올해 인도네시아에서 팜유 수출을 중단하며 식용유 가격이 크게 올랐고, 팜유 생산을 위해 현지에서 원시림을 파괴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한 상황에서 소량씩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모아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주목받는다. 이삼기 미래엔동명물류 이사는 “유럽에서는 정유사가 주유소에 경유를 공급할 때 바이오디젤을 7~8%까지 섞도록 규정하는 등 친환경 연료 사용에 적극적”이라고 했다.

오세주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춘천지부장은 “아파트 관리소장들에게 폐기물 처리 문제는 가장 고민이 많은 일상의 업무”라며 “자원순환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고취하고 재활용하는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권소담 기자 ksodamk@mstoday.co.kr]

권소담 기자
권소담 기자 더 나은 '로컬의 삶'을 바라봅니다.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남*열 2022-08-07 07:13:11
이미 예전부터 재활용해오던 방식인데 이제라도 춘천에 도입되서 다행입니다 자원부족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권장해야됩니다 잘하셨네요

하단영역

매체정보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춘천순환로 600
  • 대표전화 : 033-256-3300
  • 법인명 : 주식회사 엠에스투데이
  • 제호 : MS투데이
  • 등록번호 : 강원 아00262
  • 등록일 : 2019-11-12
  • 발행일 : 2019-10-17
  • 발행인 : 이원복
  • 편집인 : 조한종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용
  • Copyright © 2023 MS투데이 .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준용 033-256-3300·mstoday10@naver.com
  •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