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과 증언으로 보는 근현대 춘천 이야기] 일제강점기 교육 현실과 춘천
  • 스크롤 이동 상태바

    [기록과 증언으로 보는 근현대 춘천 이야기] 일제강점기 교육 현실과 춘천

    • 입력 2023.05.18 00:00
    • 기자명 허준구 춘천학연구소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머니! 당신의 오월이 오면/ 먼 데까지 날아가는/ 아카시아 향기처럼 정결한 기쁨을 가슴에 꽃피우며/ 우리의 이웃을 만나러 가겠습니다 - 이해인의 「어머니! 당신의 오월이 오면」 중에서

     

    허준구 춘천학연구소장
    허준구 춘천학연구소장

    5월은 계절의 여왕답게 다양하고 풍성한 행사로 북적이며 이웃과 만나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 그러나 5월 스승의 날 주간을 맞아 일제강점기 교육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 여전히 아프고 쓰린 현실이 공존한다. 

    올해는 광복 78주년으로 해방둥이 어르신이 78세가 되었으니, 인생무상 실로 일제강점기란 말이 선뜻 다가서지 않을 법도 하다. 그러나 일제는 사회 경제 교육 문화 분야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더없는 차별과 악행을 저질렀으며, 특히 교육에 있어 조선인에게는 지식인 양성 교육 자체를 교묘하게 제도로 통제해 사회 진출을 가로막았다. 

    일제 만행이 극에 달했던 1944년 기록을 통해 15세 이상 조선인 교육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취학조차 하지 못해 문맹률(文盲率)이 80%(1419만7469명 중 1139만7840명)를 넘어섰으며 서당교육 이수자는 6.38%였다. 지금의 초등학교 졸업자는 10.15%, 중등학교 졸업자는 겨우 1.41%에 그쳤으며 전문학교와 대학졸업자는 합하여 0.21%에 머물렀다. 반면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은 인구 중 3%(44만3365명)였으나 종합대학 졸업자가 50%에 달했으며 단과대, 사범대, 기술전문대 졸업자는 47%였다. 중등학교 졸업자는 44%, 2년제 중학교 졸업자는 73%로 한국인에게 불리하게 구성한 입학시험을 통해 고등교육 기회를 제한하며 이로써 요직에 나가는 길을 차단했다.

    일제강점기 춘천에는 초등교육 기관인 보통학교(현 초등학교) 22곳, 중등교육 기관으로 춘천농업학교(1910), 강원도사범학교(1923~1931), 춘천고등보통학교(1924), 춘천고등여학교(1934), 춘천사범학교(1939), 사립학교로는 기독여학교(1908년·1910년 정명여학교로 개명·1937년 폐교)와 기독학교(1909년·한영지서원과 배영학교로 개명·1926년 폐교) 2곳이 있었다. 

     

    1928년 춘천고등보통학교의 조선어 시간 수업 모습. (사진=춘천고 60년사 발췌)
    1928년 춘천고등보통학교의 조선어 시간 수업 모습. (사진=춘천고 60년사 발췌)

    일제강점기 강원도 최고 인문계 고등교육 시설은 1924년 세워진 춘천고등보통학교(현 춘천고등학교) 뿐이었다. 일제는 고등교육 시설을 늘리지 않았으며, 그나마 세워진 중등학교는 입학시험 방식이나 입학 후 고가의 납입금(納入金)으로 통제해 졸업생 수를 최소화했다. 이런 까닭에 전국 인문계 중등학교 정원은 1300명이었는데 6000~7000명이 몰려들어 보통 6대 1의 경쟁률을 보였지만 졸업생 수는 그 절반을 채우지 못했다. 춘천고 또한 100명 모집에 900여 명이 응시하여 9대 1까지 치솟았던 반면 상록회 대일 투쟁을 거친 1939년에는 졸업생 수가 30명 선 언저리에 그쳤다.

    사립학교는 선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주를 이루며 민족의식과 우리 문화와 역사 교육이 가능했지만, 일제는 별의별 구실을 동원하여 방해하여서 문을 닫을 수밖에 없도록 폐교를 유인하였다. 춘천에 세워졌던 두 사립학교도 이러한 일제의 계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폐교하였다.

    일제강점기 시행된 입학 고사 정책은 지금까지도 개인 간의 경쟁을 부추기는 대학입시 폐해로 드러나고 있으며 조선어 말살 정책은 민족정기 훼손으로 지금껏 이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일제의 침탈과 악행을 잊어서는 안 된다. 불편하고 왜곡된 현실을 넘어서기 위해, 가해자인 일본의 진정을 담은 사죄와 반성이 있어야 미래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허준구 필진 소개
    -춘천문화원 춘천학연구소 소장
    -춘천시 문화도시 정책위원회 위원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