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아파트값 37주 연속 하락⋯집 안 팔려 이사도 못 간다
상태바
춘천 아파트값 37주 연속 하락⋯집 안 팔려 이사도 못 간다
  • 권소담 기자
  • 댓글 70
  • 승인 2023.04.01 00:0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값 하락에 매물 쌓이며 거래 절벽 심화
1년 사이 거래량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아파트 2300세대 시장에 나와 매물 쌓여
기존 집 처분 지연, 새 아파트 입주 못해

춘천지역 아파트 가격이 3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거래 절벽이 심화하며 매물이 쌓이고 있다. 경색된 아파트 시장으로 인해 집이 팔리지 않아 이사 계획에 차질이 생긴 이들도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3월 27일(3월 4주차) 기준 춘천지역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07%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이후 37주 연속 하락세다. 가격의 변화를 나타내는 매매가격지수는 100으로 기준 주인 2021년 6월 4주차 당시 수준까지 내렸다. 지금 같은 가격 조정이 이어진다면 춘천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본격적인 상승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게 된다.

얼어붙은 춘천지역 아파트 시장은 정부의 규제 완화 기조에도 경직된 상태를 유지 중이다. 본지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올해 춘천지역 아파트 거래량(해제 사유 발생 건은 제외)은 1월 157건, 2월 208건, 3월 219건으로 집계됐다. 1‧3 부동산 대책 등 규제 완화 이후 거래가 소폭 늘어나긴 했으나 지난해 3월(378건)과 비교하면 실거래량은 절반 수준에 그친다.

집값 상승기 갭투자자들이 몰리며 거래가 활발했던 퇴계동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MS투데이 DB)
집값 상승기 갭투자자들이 몰리며 거래가 활발했던 퇴계동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MS투데이 DB)

그 사이 시장에는 소진되지 못한 매물이 쌓이고 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3월 31일 기준 춘천지역 아파트 매물은 2371건으로 전년동월(1630건) 대비 45%가 늘어났다. 특히 우두동(136%), 온의동(103%), 소양로2가(62.5%) 등을 중심으로 매물 적체 현상이 뚜렷하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에 나왔던 급매물이 어느 정도 소진된 이후 매도자가 호가를 낮추지 않은 매물이 쌓이고 있다.

거래가 막히자 새 아파트 입주 등 이사 계획에 차질이 생긴 이들도 많아졌다. 기존에 살던 아파트가 팔리지 않아 잔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다. 주택산업연구원의 조사 결과, 미입주 원인으로 ‘기존 주택 매매 지연’을 꼽은 이들은 44.4%로 전월(41.7%) 대비 2.7%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권소담 기자 ksodamk@mstoday.co.kr]

[확인=한상혁 데스크]

권소담 기자
권소담 기자 더 나은 '로컬의 삶'을 바라봅니다.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7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안*주 2023-04-01 11:34:50
투기꾼들이 망해야 내리는데 ㅉ ㅉ 정부가 빛내서 집사라는 정책으로 가니

김*경 2023-04-01 08:26:26
춘천 아파트 거품이 더 빠져야됩니다

이*경 2023-04-01 21:01:29
비싸게 팔려고하니 안팔리는거 아닐까요?
공시지가가 내려갔다는데 집값은 그대로이니..
에휴.

용*예 2023-04-01 07:47:51
신축 아파트 거품이 좀더 빠지면 시장이 움직이겠죠ᆢ

정*순 2023-04-01 07:42:38
거품이 더빠져야 매매가 되지않을까요
서민들이 움직이긴 아직인가보네요

하단영역

매체정보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춘천순환로 600
  • 대표전화 : 033-256-3300
  • 법인명 : 주식회사 엠에스투데이
  • 제호 : MS투데이
  • 등록번호 : 강원 아00262
  • 등록일 : 2019-11-12
  • 발행일 : 2019-10-17
  • 발행인 : 이원복
  • 편집인 : 조한종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용
  • Copyright © 2023 MS투데이 .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준용 033-256-3300·mstoday10@naver.com
  •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