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아동학대 검거율 30%대⋯전국 최하위권
상태바
강원지역 아동학대 검거율 30%대⋯전국 최하위권
  • 서충식 기자
  • 댓글 9
  • 승인 2023.04.02 00: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2022년 5년간 2738건 발생, 828건 검거
검거율 30.2%로 전국에서 세종 다음으로 낮아
학대 아동 분리하는 응급조치 비율도 하위권
“범죄 근절 위한 범정부적인 대책 마련 시급”
최근 5년간 강원지역 아동학대 신고 접수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검거율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근 5년간 강원지역 아동학대 신고 접수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검거율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강원지역 아동학대가 매년 증가하고 있음에도 검거율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희곤 국회의원(국민의힘)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8~2022년 아동학대 사건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신고된 아동학대 범죄는 총 9만4917건이고, 이 가운데 3만7434건(39%)이 검거됐다. 18개 시·도경찰청별 신고 건수는 경기남부청이 2만1687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청(1만5231건), 인천청(8501건), 경기북부청(5830건), 충남청(4830건), 경남청(4824건), 부산청(4506건)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강원지역에 신고된 아동학대 범죄는 2738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8년 414건, 2019년 410건, 2020년 484건 등 이었다가 2021년 728건, 2022년 702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범인이 검거된 경우는 828건으로 30.2%에 그쳤다. 이는 18개 시·도경찰청 가운데 세종(21.6%) 다음으로 낮은 수치이다. 이어 인천청(30.7%), 경남청·충남청(35.4%), 대구청(36.3%) 등이었다.

현장에서 학대 아동에 대한 응급조치가 이뤄진 건수는 1만3536건으로 아동학대 신고 건수 대비 14%에 불과했다. 시·도경찰청 별 아동학대 응급조치 비율을 살펴보면 세종청(3.9%), 충남청(5.4%), 울산청(5.4%), 강원청(6.0%), 인천청(6.5%) 등으로 미온적인 응급조치가 이뤄졌다. 응급조치는 출동한 경찰이 학대 현장을 포착하거나 재학대 위험이 발견될 경우 할 수 있고, 피해 아동을 분리하는 법적 규정이 마련돼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법 규정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응급조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아동학대 응급조치 건수는 수치만을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아동·청소년이 직접 학대 신고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해자가 강하게 분리해달라고 요청하지 않는 한 강제적인 조치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희곤 국회의원은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던 정인이 사건 이후에도 아동학대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어 우려가 크다”며 “전문인력 증원, 보호 시스템 구축 등 아동학대 범죄 근절을 위한 범정부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충식 기자 seo90@ms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9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박*숙 2023-04-02 07:08:35
한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 정말 절실히 느낌니다

김*옥 2023-04-03 22:03:09
아동학대 무관용의 원칙으로 대응해야하는데 기관에서는 다시 아동학대 가정으로 돌려보내 반복되게함.

이*숙 2023-04-02 07:24:47
많은 귀한 아이들이 학대를 당하다니
가까운 주변에서부터 관심을 가져야 겠어요

장*철 2023-04-02 06:47:23
아동 학대는 아이의 미래도 사라집니다

길*희 2023-04-02 06:04:57
경찰의 분발을 촉구....

하단영역

매체정보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춘천순환로 600
  • 대표전화 : 033-256-3300
  • 법인명 : 주식회사 엠에스투데이
  • 제호 : MS투데이
  • 등록번호 : 강원 아00262
  • 등록일 : 2019-11-12
  • 발행일 : 2019-10-17
  • 발행인 : 이원복
  • 편집인 : 조한종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용
  • Copyright © 2023 MS투데이 .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준용 033-256-3300·mstoday10@naver.com
  •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