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을 알려드림] 춘천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 중이라면⋯최대 300만원 지원
상태바
[춘천을 알려드림] 춘천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 중이라면⋯최대 300만원 지원
  • 한승미 기자
  • 댓글 0
  • 승인 2023.03.23 12: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호회 활동비 최대 300만원, 80팀 선정
신규 동호회도 지원, 온라인 시스템 접수

<춘천에 살면서 궁금했던 점이 있다면, MS투데이(이메일 singme@mstoday.co.kr)로 보내주세요. 춘천시와 강원도 브리핑, 각 기관 단체 소식도 알려드리겠습니다. 또 보내주신 독자와 시민들의 글 중 일부는 지면에 싣겠습니다.>

춘천문화재단이 춘천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 지원에 나섰습니다.

‘2023 생활문화 지원사업’은 기존 동호회와 신규 동호회 등 80여팀을 선발해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활동 공간 대관과 외부 강사 수업 등 역량 강화에 관심 있는 지역 동호회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활문화 지원사업’ 홍보 포스터. (사진=춘천문화재단)
‘생활문화 지원사업’ 홍보 포스터. (사진=춘천문화재단)

▶‘생활문화 지원사업’이란?
춘천문화재단이 지역 생활문화 동호회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시민들이 생활문화 활동을 통해 일상의 즐거움을 찾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이 목적입니다. 재료비와 강사비, 홍보비, 출판비, 임차비, 대관비 등 동호회 활동에 필요한 비용 200~300만원을 지원합니다. 

▶어떤 동호회를 모집하나요?
공모는 ‘활동강화’와 ‘활동지지’ 두 개 유형으로 접수합니다. 

‘활동강화’ 유형은 기존에 활동을 진행하던 동호회(3년 이상)를 대상으로 60팀 내외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활동지지’ 유형은 신규 동호회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동호회의 지속적인 활동기반 마련을 위해 20팀 내외를 지원합니다. 지원 동호회는 서면·인터뷰심사를 거쳐 선발하며, ‘활동강화’ 유형에 300만원을, ‘활동지지’ 유형에는 200만원을 각각 지원합니다. 

▶자세한 신청자격이 궁금해요.
‘생활문화’는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자발적이거나 일상적으로 참여해 행하는 유·무형의 문화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춘천문화재단은 ‘춘천 생활문화 동호회’를 3인 이상의 춘천시민이 문화를 매개로 동호회나 정기적인 활동을 하는 커뮤니티 모임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동호회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신청자격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사업 담당자는 “다양한 형태의 모임이 주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대상을 자유롭게 열어뒀다”며 동호회의 범주를 별도로 분류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학교, 학원, 교습소 등이 주도하거나 종교기관의 소속단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단체 등 신청이 불가한 제한사항들이 있어 모집 요강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신청방법 알려주세요.
접수는 온라인으로 하면 됩니다.

춘천문화재단 온라인 시스템(http://start.cccf.or.kr)으로 오는 24일 오후 6시까지 접수합니다. 온라인 시스템 사용이 어려운 경우 ‘오프라인 입력 도우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는 온라인(https://forms.gle/qE6rwseq6JineAga6)에서 먼저 방문 예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장 도우미 서비스는 효자동 아르숲 생활문화센터에서 운영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춘천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시민문화팀(033-259-5424)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한승미 기자 singme@mstoday.co.kr]

[확인=윤수용 데스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하단영역

매체정보

  • 강원도 춘천시 동면 춘천순환로 600
  • 대표전화 : 033-256-3300
  • 법인명 : 주식회사 엠에스투데이
  • 제호 : MS투데이
  • 등록번호 : 강원 아00262
  • 등록일 : 2019-11-12
  • 발행일 : 2019-10-17
  • 발행인 : 이원복
  • 편집인 : 조한종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준용
  • Copyright © 2023 MS투데이 . All rights reserved.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박준용 033-256-3300·mstoday10@naver.com
  • 인터넷신문위원회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