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서 전동킥보드 ‘펑’⋯ ‘도로 위 시한폭탄‘ 1800대
  • 스크롤 이동 상태바

    춘천서 전동킥보드 ‘펑’⋯ ‘도로 위 시한폭탄‘ 1800대

    7일 밤 공유 업체 대리점서 리튬배터리 폭발, 화재로 이어져
    전동킥보드 화재 사고 5년 새 8배, 대다수 배터리 과열 탓
    공유 업체 인허가 없이 영업 가능, 무단 주차도 단속 어려워

    • 입력 2022.08.12 00:01
    • 수정 2022.08.15 00:08
    • 기자명 진광찬 인턴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일 밤 10시 53분쯤 춘천 석사동 전동킥보드 공유 업체 대리점에서 전동킥보드가 폭발해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강원도소방본부)
    7일 밤 10시 53분쯤 춘천 석사동 전동킥보드 공유 업체 대리점에서 전동킥보드가 폭발해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강원도소방본부)

    지난 7일 밤 10시 53분쯤 춘천 석사동 한 공유 전동킥보드 대리점에서 전동킥보드 1대가 폭발해 불이 났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대리점 바닥이 그을리고 전동킥보드가 소실하는 등 33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전동킥보드에 탑재된 리튬이온 배터리가 과열, 발화하면서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동킥보드가 빠르게 보급된 이후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는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다. 2019년 5월에는 서울에서 한 외국인 유학생이 자취방에서 충전하던 전동킥보드 폭발로 사망했다. 지난해 5월 대전에서는 전동킥보드 발판 아래에서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주행 중인 킥보드에 불이 붙기도 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화재 건수는 2018년 5건, 2019년 10건, 2020년 39건, 지난해 39건, 올해는 7월 말까지 40건이 넘는 등 5년 만에 8배 이상 증가했다. 전동킥보드 화재 원인의 대다수는 배터리 과열이다.

    전동킥보드에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와 폭발에 취약하다. 대체로 크기가 작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인화성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배터리가 너무 뜨거워져 폭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배터리에는 과열을 막아주는 안전장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킥보드 업체나 판매자도 배터리 안전장치 설치 유무를 알릴 의무가 없다.

    전문가들은 비규격 충전기로 전동킥보드를 충전할 때 급격히 열이 상승하는 ‘열폭주 현상’을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춘천에서 발생한 전동킥보드 폭발 화재도 열폭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중국산 킥보드에서 대체로 사고가 발생한다. 배터리 결함 등 제조과정의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업체들의 품질관리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전동킥보드로 출퇴근하는 춘천시민 유모(25)씨는 “최근 전동킥보드 배터리가 폭발하는 경우가 많다는 소식을 들어 주기적으로 AS센터에 방문하는 등 관리하고 있다”며 “특히 올바른 전압 충전기를 사용하고 취침할 때는 충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춘천시 효자동 팔호광장 인근에서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안전장비 없이 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진=MS투데이 DB)
    춘천시 효자동 팔호광장 인근에서 전동킥보드 운전자가 안전장비 없이 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진=MS투데이 DB)

    전동킥보드 폭발 문제 함께 난립하는 공유형 전동킥보드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해 5월 '도로교통법 개정안'에 전동킥보드가 포함되면서 무면허 운전, 헬멧 미착용, 2인 탑승 등은 금지됐다. 하지만 여전히 도로 곳곳에서 보행자나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킥보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춘천은 2019년 말부터 공유 전동킥보드가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다. 공유형 전동킥보드 업체는 시의 인허가 없이 바로 운영할 수 있어 지자체의 관리가 특히 어렵다. 춘천시는 춘천에 공유형 전동킥보드 업체 4~6곳이 약 1800대 정도의 전동킥보드를 운영 중인 것으로 추정한다.

    통행로를 막는 등 무차별적인 무단 주차도 빈번히 발생한다. 하지만 여전히 시에서 견인하거나 이동할 마땅한 근거나 방법이 없다. 춘천시 생활교통과 관계자는 “안전사고나 무단 주차 문제를 해결하고자 킥보드 공유 업체 관계자들과 주기적으로 간담회를 열고, 등록제 시행을 검토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충식 기자·진광찬 인턴기자 seo90@mstoday.co.kr]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8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